<p></p><br /><br />지난 달 교통사고를 당한 동생을 위해 급하게 혈액을 구한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습니다. <br> <br>많은 누리꾼들이 혈액을 보내며 다행히 생명을 살렸습니다. <br> <br>혈액이 부족해 이런 '지정헌혈'을 해야하는 환자 가족이 늘고 있는데, <br> <br>만성 혈액 부족 상황, '다시 간다' 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늦은 밤 도로 2차선을 달리고 있는 승용차. <br> <br>그런데 SUV가 뒤에서 갑자기 달려오더니, 좌회전을 시도하던 승용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. <br><br>사고를 낸 SUV 운전자는 음주 상태였고, 승용차 운전자 권모 씨는 중상을 당해 병원에 이송됐습니다. <br> <br>[권민정 / 권모 씨 누나] <br>"장기들도 많이 파열돼서 출혈이 있었고 수혈이 시급할 거 같다." <br><br>병원측은 수술도중 가족들에게, 혈액이 모자라니 '지정헌혈'로 헌혈자들을 직접 구하라고 안내했습니다.<br> <br>[권민정 / 권모 씨 누나] <br>"혈압이 50~60 이라고… 지정 헌혈이 이뤄지지 않으면 내 동생은 그냥 부족해서 죽는 건가…" <br> <br>권 씨의 누나는 즉시 온라인 커뮤니티에 혈액을 구한다는 글을 올렸고, 기적처럼 도착한 혈액들을 수혈받은 권씨는 건강을 회복중입니다. <br> <br>[권민정 / 권모 씨 누나] <br>"혈액 32팩 정도 수혈했다고 하고. 감사하기도 하고 죄송스러워요." <br><br>'지정헌혈'제도의 취지는 희귀혈액이 부족한 응급 상황에 대비하자는 것인데, 최근 혈액 공급난이 계속되면서 일반혈액에 대한 SOS글도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달 초, 교통사고를 당한 제주대 학생의 아버지가 SNS에 올린 간절한 호소에 100 명 넘게 지정헌혈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병원들도 자신들의 혈액 보유량을 유지하려고, 수술을 앞둔 환자와 가족들에게 지정헌혈을 권유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○○병원 관계자] <br>"50유닛 보유하고 있다가. 4월 20일 이후는 반 정도 밖에 없는데 (큰 수술 땐) 재고된 피를 많이 소모하니까" <br><br>이런 상황들때문에 지난해 지정헌혈은 7만 여건으로, 2019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.<br> <br>하지만, 자발적으로 하는 일반 헌혈은 줄고 있습니다. <br> <br>헌혈카페 대기실은 텅 비었고, 침대 10개 중 2개에서만 헌혈이 이뤄지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[송주현 / 한마음혈액원 간호사] <br>"거의 달에 200~300명이 줄었다고 보시면 되거든요. 지금은 지정헌혈 아니면 돌아가기 힘든 상황이에요." <br><br>실제로 지난해 2백43만 건으로 2019년에 비해 17만 8천 건 줄었습니다. <br><br>일반 헌혈이 줄고, 지정 헌혈이 늘어나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 <br><br>지정헌혈로 혈액이 특정환자나 특정병원에 몰리게 되면, 다른 환자나 병원은 상대적으로 더욱 혈액을 구하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> <br>[박종훈 /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장] <br>"혈액까지도 가족들이 신경을 써야된다는 건 되게 어려운 일이에요. 상당히 문제가 있는 거죠." <br> <br>[엄태현 / 일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] <br>"지정헌혈 하면 현혈자가 일반 헌혈을 못하는 거죠. 두 달 동안은. 급한대로 당겨 쓰는 상황이기 때문에 나중에 그 여파는 남는 거죠." <br> <br>대한적십자사는 '임시방편'적 수단인 지정헌혈이 증가하자, 따로 관리할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대성 / 대한적십자사 수급관리팀] <br>"(환자가) 지정헌혈 등록을 할 때 며칠까지 (혈액) 몇 개 이런 정보가 같이 들어가서 저희들한테는 5개를 요구하는데 4개째인지 확인이 될 수 있어요." <br><br>또 일반헌혈을 지속적으로 장려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.<br> <br>[권민정 / 권모 씨 누나] <br>"저는 그래도 젊은 사람이고 SNS나 사람 소통을 하는 사람이잖아요. 정말 나이 많은 사람들이나 장애인 분들이 그랬다면 아찔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니까…" <br> <br>'다시간다' 우현기입니다. <br>whk@donga.com <br>PD : 윤순용 <br>작가 : 김예솔 <br>그래픽 : 유건수 박정재 윤승희 <br>자료출처 : 강기윤 의원실